맨위로가기

새러토가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러토가 전투는 1777년 미국 독립 전쟁 중 뉴욕주에서 벌어진 일련의 전투를 통칭하며, 프리먼 농장 전투와 베미스 고지 전투를 포함한다. 존 버고인 장군이 이끄는 영국군은 허드슨 강 유역을 장악하려 했으나, 대륙군의 호레이쇼 게이츠 장군과 베네딕트 아놀드의 지휘 아래 수적으로 열세에 놓이면서 10월 17일 항복했다. 이 전투에서 영국군의 작전 실패는 전쟁의 주요 전환점이 되었고, 프랑스의 참전을 이끌어 미국 독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7년 10월 - 저먼타운 전투
    1777년 10월 4일 미국 독립 전쟁 중 저먼타운에서 조지 워싱턴이 이끄는 대륙군이 윌리엄 하우 장군의 영국군을 기습 공격했으나 패배했지만, 프랑스의 미국 지원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1777년 9월 - 브랜디와인 전투
    브랜디와인 전투는 1777년 영국군이 조지 워싱턴의 대륙군을 상대로 승리한 미국 독립 전쟁의 주요 전투이며, 영국군의 측면 공격으로 대륙군이 후퇴하고 필라델피아가 함락되었으나 대륙군은 저항을 멈추지 않았다.
  • 1777년 분쟁 - 베닝턴 전투
    베닝턴 전투는 미국 독립 전쟁 중 새러토가 방면 작전의 일환으로 현재의 버몬트주 베닝턴 근처에서 벌어져 미국 측의 승리로 끝났으며, 영국군의 보급 부족을 심화시켜 사라토가 전투에서의 항복과 프랑스의 참전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했다.
  • 1777년 분쟁 - 프린스턴 전투
    프린스턴 전투는 미국 독립 전쟁 중 조지 워싱턴이 이끄는 대륙군이 영국군을 기습하여 승리한 전투로, 사기 진작과 전쟁의 흐름을 바꾸는 데 기여했으며, 현재 전장은 주립공원으로 보존되어 있다.
새러토가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전투 정보
분쟁미국 독립 전쟁의 새러토가 전역
전투명사라토가 전투
날짜1777년 9월 19일 (금요일) 및 10월 7일 (화요일)
장소뉴욕주 스틸워터, 새러토가군
결과프리먼스 팜: 영국 승리
베미스 하이츠: 미국 승리
10월 17일 영국 항복
교전 세력
교전국 1미국 (1777)
교전국 2[[파일:Union flag 1606 (Kings Colors).svg|21px]]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파일:Union flag 1606 (Kings Colors).svg|21px]] 퀘벡
[[파일:Flag of the Loyalist (American Revolution).svg|21px]] 로열리스트
[[파일:Flag of Hesse-Kassel.svg|21px]] 헤센카셀
[[파일:Flag of Hesse-Hanau.svg|21px]] 헤센하나우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지휘관
지휘관 1호레이쇼 게이츠
베네딕트 아널드
벤저민 링컨
이녹 푸어
에베니저 러니드
대니얼 모건
제임스 리빙스턴
윌리엄 휘플
지휘관 2존 버고인
사이먼 프레이저
윌리엄 필립스
프리드리히 아돌프 리데젤
하인리히 폰 브라이만
병력 규모
병력 19,000명 (첫 번째 전투)
12,000명 이상 (두 번째 전투)
15,000명 이상 (항복 당시)
병력 27,200명 (첫 번째 전투)
6,600명 (두 번째 전투)
사상자 규모
사상자 190명 사망
240명 부상
사상자 2440명 사망
695명 부상
6,222명 포로
기타
관련 전투미국 독립 전쟁의 새러토가 전역
이미지 정보
존 트럼불의 1822년 초상화 '버고인의 항복'
존 트럼불이 1822년에 그린 초상화 '존 버고인의 항복'. 존 버고인, 영국 육군 장군이 호레이쇼 게이츠 장군에게 항복하고 있다. 게이츠는 그의 칼을 받지 않았다. 그림은 현재 미국 국회의사당 원형 홀에 걸려 있다.
뉴욕주 빅토리에 있는 승전 기념비
뉴욕주 빅토리에 있는 승전 기념비에는 사라토가 전투에서 활약한 4명의 영웅을 기리는 받침대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비어 있다. 그곳은 베네딕트 아널드의 이름을 넣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2. 역사적 배경

존 버고인 장군이 이끄는 영국군은 1777년 6월 퀘벡 주에서 남쪽으로 진군하여 상류 허드슨 강 유역을 장악하려 했다. 영국군은 정규군, 독일 용병, 캐나다 왕당파, 그리고 인디언 동맹군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병력은 7,000여 명이었다.[12] 티콘데로가 요새에서의 승리 이후, 7월 말에 군대 일부가 상류 허드슨 강에 도착했지만, 물류 및 보급 문제로 주력군은 포트 에드워드에 머물렀다.[12] 이러한 상황에서 8월 16일 벤닝턴 전투에서 1,000여명의 병력 손실이 발생하고,[13] 8월 28일에는 모호크 강 유역을 따라 진군하던 배리 세인트 레저의 원정대가 포트 스탠위크 포위전 실패 후 철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14]

1777년 9월 10일 버고인 군대의 위치


윌리엄 하우 장군은 버고인과 합류하는 대신, 해로를 통해 뉴욕시에서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필라델피아 점령 작전을 벌였다.[15] 설상가상으로 벤닝턴에서의 패배 이후 버고인을 지원하던 대부분의 인디언 지원군이 이탈하여 그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16] 결국 버고인은 티콘데로가로 후퇴하거나 올버니로 진격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그는 진격하기로 결정하고, 9월 13일부터 15일 사이에 사라토가 북쪽에서 허드슨 강을 건넜다.[17][18]

서 조슈아 레이놀즈가 1766년에 그린 ''존 버고인 초상'' 그림

2. 1. 영국군 상황

존 버고인 장군이 이끄는 영국군은 1777년 6월 퀘벡 주에서 남쪽으로 진군하여 상류 허드슨 강 유역을 장악하려 했다. 영국군은 정규군, 독일 용병, 캐나다 왕당파, 그리고 인디언 동맹군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병력은 7,000여 명이었다.[12] 티콘데로가 요새에서의 승리 이후, 7월 말에 군대 일부가 상류 허드슨 강에 도착했지만, 물류 및 보급 문제로 주력군은 포트 에드워드에 머물렀다.[12] 이러한 상황에서 8월 16일 벤닝턴 전투에서 1,000여명의 병력 손실이 발생하고,[13] 8월 28일에는 모호크 강 유역을 따라 진군하던 세인트 레저의 원정대가 포트 스탠위크 포위전 실패 후 철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14]

윌리엄 하우 장군은 버고인과 합류하는 대신, 해로를 통해 뉴욕시에서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필라델피아 점령 작전을 벌였다.[15] 설상가상으로 벤닝턴에서의 패배 이후 버고인을 지원하던 대부분의 인디언 지원군이 이탈하여 그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16] 결국 버고인은 티콘데로가로 후퇴하거나 올버니로 진격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그는 진격하기로 결정하고, 9월 13일부터 15일 사이에 사라토가 북쪽에서 허드슨 강을 건넜다.[17][18]

2. 2. 대륙군 상황

호레이쇼 게이츠 장군이 지휘하는 대륙군은 7월 초 버고인이 티콘데로가를 점령한 이후 뉴욕주 스틸워터 남쪽에 진을 치고 있었다.[19] 8월 19일, 호레이쇼 게이츠 장군이 필립 슈카일러를 대신하여 지휘권을 인수했다.[20] 게이츠와 슈카일러는 이전에도 군대 북부 사령부의 지휘권 문제로 다툰 적이 있었다.[20]



이후 주지사들의 징집 명령, 베닝턴 전투의 성공, 그리고 버고인의 지휘하에 있는 인디언들이 영국군 장교의 약혼녀인 제인 맥크리를 살해한 사건에 대한 널리 퍼진 분노로 인해 민병대의 참여가 증가하면서 군대의 규모는 커지고 있었다.[21] 제인 맥크리 살해 사건은 식민지 전역의 신문에 광범위하게 보도되었고, 민병대의 대규모 참여로 이어저 버고인의 군대보다 2대 1의 수적 우세를 점하게 되었다.[23] 전투가 진행됨에 따라 대규모 민병대의 참여는 계속되었고, 전투가 끝날 무렵, 버고인의 군대는 5,791명이었고, 대륙군은 약 12,000명이었다.[22]

조지 워싱턴 장군의 전략적 결정 또한 게이츠 군대의 상황을 개선시켰다. 워싱턴은 7월에 베네딕트 아놀드와 벤자민 링컨을 북쪽으로 지원군으로 보냈다.[24] 8월에는 뉴욕 고지대를 방어하는 이스라엘 퍼트넘의 부대에서 750명을 게이츠 군대에 합류하도록 명령했다. 그는 또한 대령 대니얼 모건과 500명의 저격수로 구성된 새로 편성된 임시 소총 부대를 보냈다.[25] 이 부대는 모건의 소총병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9월 7일, 게이츠는 자신의 군대에게 북쪽으로 행군할 것을 명령했다. 새러토가 남쪽 약 16km 지점에 위치한 베미스 고지가 선택되었고, 군대는 약 일주일 동안 폴란드의 기술자인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가 설계한 방어 시설을 건설했다.[26]

새러토가 작전에서 대치하고 있는 군대의 이동 경로와 새러토가 전투 계획(삽화)

3. 전투

1777년 9월 19일에 벌어진 프리먼 농장 전투는 ‘제1차 새러토가 전투’라고도 불린다. 영국군은 세 부대로 나뉘어 진격했다. 리더젤 남작이 이끄는 부대는 강변 도로를 따라 진군하며 포와 보급품을 운반했고,[31] 제임스 잉글리스 해밀턴 장군은 베미스 고지를 공격하기 위해 중앙 부대를 이끌었다.[31] 사이먼 프레이저 장군은 우익을 맡아 대륙군 좌익을 측면 공격하려 했다.[31]

1777년 9월 19일 프리먼 농장 전투 초기 병력 배치 및 이동


대륙군의 베네딕트 아놀드는 스탠윅스 요새에서 돌아온 후 호레이쇼 게이츠와 갈등을 겪었다.[29] 게이츠는 방어선 좌익을 아놀드에게 맡겼지만,[30] 아놀드는 측면 공격 가능성을 인식하고 게이츠에게 병력 이동 허가를 요청했다. 게이츠는 소극적인 전략을 고수하며 정찰만 허가했지만,[33] 아놀드는 대니얼 모건의 부대와 헨리 디어본의 경보병으로 구성된 정찰대를 보냈다.[33]

오후 1시 전투 상황도


모건의 부대는 프리먼 농장에서 영국군 선발대를 발견하고, 전략적 요충지에 저격수들을 배치하여 장교들을 사살했다.[34][35] 모건 부대는 영국군 주력을 향해 돌격했지만, 프레이저 부대의 공격으로 숲 속으로 흩어졌다.[35]

오후 3시 전투 상황도


오후 1시경, 전투는 소강 상태에 들어갔지만, 게이츠는 모건을 지원하기 위해 추가 연대를 투입했다.[37] 전투는 치열한 공방전으로 이어졌고, 모건의 부대는 영국군 장교와 포병을 사살하며 효과적인 사격을 가했다.[40] 영국군 전열 중앙이 붕괴될 뻔했지만, 필립스 장군의 개입으로 재정비되었다.[40]

오후 5시 전투 상황도


오후 3시경, 리데젤은 버고인에게 사자를 보내 미군 우익 공격 명령을 받았다.[42] 리데젤 부대의 맹렬한 사격과 프레이저 부대의 측면 공격 위협으로,[42] 아놀드는 게이츠에게 추가 병력을 요청했지만, 어둠이 닥치면서 전투는 끝났다.[43] 미군은 방어선으로 후퇴했고, 영국군이 전장을 장악했다.[44]

버고인은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상당한 사상자를 냈고,[45] 미군도 거의 3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46]

프리먼 농장 전투터의 현대 모습


버고인의 군사회의에서는 다음 날 공격할지 여부를 논의했지만, 적어도 9월 21일까지 추가 행동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군대는 미군 전선에 더 가까이 진지를 구축하기 위해 이동했고, 일부 병사들은 전사자를 수습했다.[50] 9월 21일 공격은 버고인이 뉴욕시에 주둔한 영국군 사령관인 헨리 클린턴이 9월 12일자로 보낸 편지를 받으면서 취소되었다. 클린턴은 "약 10일 안에 [몬트고메리] 요새를 공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50] 그러나 병력과 식량이 부족했던 버고인은 여전히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었지만, 클린턴이 와서 자신의 군대를 구출해 줄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기다리기로 결정했다.[50] 버고인은 9월 23일 클린턴에게 편지를 써서 게이츠의 군대를 유인할 수 있는 일종의 지원이나 교란 작전을 요청했다.[51] 클린턴은 10월 3일 뉴욕을 출발하여 몬트고메리와 클린턴 요새를 점령했지만,[52] 그의 군대가 도달한 최북단은 클레르몽으로, 10월 16일 저명한 애국자 리빙스턴 가문의 영지를 습격했다.[53]

사라토가 전투 전장도 및 닐슨 저택의 남쪽, 동쪽 외관과 내부. 에녹 푸어와 베네딕트 아놀드의 본부로 사용되었다.


한편, 대륙군에서는 링컨 장군과 존 브라운 대령이 티콘데로가 요새의 영국군 진지에 대한 공격을 개시했다. 린컨은 9월 초까지 베닝턴에 2,000명의 병력을 모았다.[54] 브라운과 500명의 분견대는 티콘데로가와 레이크 조지 호수 사이의 방어가 허술한 지역을 점령한 후, 며칠 동안 요새를 비효율적으로 포격했다. 이 병사들과 그들이 도중에 해방시킨 일부 포로들은 9월 29일까지 미군 진영으로 돌아왔다.[55][56]

미군 진영에서는 게이츠와 아놀드 사이의 상호 반감이 커져, 결국에는 적대감으로 폭발했다. 게이츠는 9월 19일의 작전을 의회와 뉴욕 주지사 조지 클린턴에게 신속하게 보고했지만, 아놀드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현장 지휘관들과 병사들은 전적으로 아놀드의 공을 인정했다. 관련된 거의 모든 병력이 아놀드의 지휘하에 있었고, 아놀드가 게이츠가 텐트에 앉아 있는 동안 전투를 지휘했다. 아놀드는 항의했고, 이 분쟁은 게이츠가 아놀드의 지휘권을 박탈하고 린컨에게 넘기면서 고성으로 끝났다.[57]

이 기간 동안 양군의 감시병과 순찰대 사이에는 거의 매일 충돌이 있었다. 산림전의 전략과 전술에 익숙한 모건의 저격수들은 서쪽 측면의 영국군 순찰대를 끊임없이 괴롭혔다.[59] 9월이 10월로 접어들면서 클린턴이 버고인을 돕기 위해 오지 않을 것이 분명해졌고, 버고인은 10월 3일 군대에 식량 배급을 줄였다.[60] 다음 날, 버고인은 군사회의를 소집하여 여러 가지 방안을 논의했지만 결론적인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다음 날 회의가 재개되었을 때, 리데셀은 후퇴를 제안했고, 프레이저가 이를 지지했다. 버고인은 후퇴는 불명예스러운 일이라고 주장하며 이를 거부했다. 마침내 그들은 10월 7일 군대의 3분의 1이 넘는 2,000명의 병력으로 미군 좌익을 공격하기로 합의했다.[61]

1777년 10월 7일, 버고인은 미군 좌익에 대한 정찰 공격을 시도했다.[64][65] 리데젤 장군은 군대의 후퇴를 권고했지만, 버고인은 공격이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했다.[64] 프레이저 준장은 대륙군 좌익을 돌아 대포를 잡기에 적당한 장소를 확보하려 했고, 윌리엄스 소령 지휘하의 영국 대포 8문과 파우슈 대위 지휘하의 헤세-하나우 대포 2문이 있었다.[65] 이들은 오전 10시에서 11시 사이에 진영을 떠나 약 1km 정도 진격하여 밀 브룩 위 언덕에 있는 바버의 밀밭에 도착하여 미군의 위치를 관찰하기 위해 멈춰 섰다.[66]

게이츠는 아놀드가 현장 지휘에서 물러난 후 미군 좌익 사령관을 맡았고, 우익 사령관은 링컨 장군에게 맡겼다.[67] 미군 정찰병이 버고인의 이동 상황을 게이츠에게 알리자, 그는 모건의 저격병들을 좌익 최전방으로, 푸어의 부대를 좌익에, 런드의 부대와 텐 브루크의 뉴욕 민병대를 배치했다.[67]

오후 2시에서 2시 30분 사이에 영국 그레나디어들이 첫 발포를 시작했고, 애클랜드 소령이 영국 그레나디어들을 이끌고 총검 돌격을 감행하자, 미군이 근접 사격을 시작했다.[70] 애클랜드는 양쪽 다리에 총상을 입고 쓰러졌고, 많은 그레나디어들도 쓰러졌다.[70] 미군 좌익에서도 영국군에게 상황이 좋지 않았는데, 모건의 부대는 캐나다인들과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몰아내고 프레이저의 정규군과 교전했다.[70] 프레이저 장군은 이 전투 단계에서 치명상을 입었다.[71]

전투 지휘에서 배제되었던 아놀드는 무단으로 전투에 참여하여 대륙군의 공격을 주도했다.[75][76] 영국 진영 오른쪽 방어선은 두 개의 요새로 고정되었는데, 가장 바깥쪽 요새는 하인리히 폰 브라이만 지휘하에 약 300명의 병사가 방어했고, 다른 요새는 발카레스 경이 지휘했다.[78] 아놀드는 미군 추격을 이끌었고, 격렬한 전투 끝에 요새는 함락되었고 브라이만은 사망했다.[80][81] 마지막 일제 사격 중 하나에서 아놀드의 말이 맞았고, 총탄과 넘어지는 말에 아놀드의 다리가 부러졌다.[82]

비미스 하이츠 전투의 병력 배치와 초기 이동.

3. 1. 프리먼 농장 전투 (1차)

1777년 9월 19일에 벌어진 프리먼 농장 전투는 ‘제1차 새러토가 전투’라고도 불린다. 영국군은 세 부대로 나뉘어 진격했다. 리더젤 남작이 이끄는 부대는 강변 도로를 따라 진군하며 포와 보급품을 운반했고,[31] 제임스 잉글리스 해밀턴 장군은 베미스 고지를 공격하기 위해 중앙 부대를 이끌었다.[31] 사이먼 프레이저 장군은 우익을 맡아 대륙군 좌익을 측면 공격하려 했다.[31]

대륙군의 베네딕트 아놀드는 스탠윅스 요새에서 돌아온 후 호레이쇼 게이츠와 갈등을 겪었다.[29] 게이츠는 방어선 좌익을 아놀드에게 맡겼지만,[30] 아놀드는 측면 공격 가능성을 인식하고 게이츠에게 병력 이동 허가를 요청했다. 게이츠는 소극적인 전략을 고수하며 정찰만 허가했지만,[33] 아놀드는 대니얼 모건의 부대와 헨리 디어본의 경보병으로 구성된 정찰대를 보냈다.[33]

모건의 부대는 프리먼 농장에서 영국군 선발대를 발견하고, 전략적 요충지에 저격수들을 배치하여 장교들을 사살했다.[34][35] 모건 부대는 영국군 주력을 향해 돌격했지만, 프레이저 부대의 공격으로 숲 속으로 흩어졌다.[35]

오후 1시경, 전투는 소강 상태에 들어갔지만, 게이츠는 모건을 지원하기 위해 추가 연대를 투입했다.[37] 전투는 치열한 공방전으로 이어졌고, 모건의 부대는 영국군 장교와 포병을 사살하며 효과적인 사격을 가했다.[40] 영국군 전열 중앙이 붕괴될 뻔했지만, 필립스 장군의 개입으로 재정비되었다.[40]

오후 3시경, 리데젤은 버고인에게 사자를 보내 미군 우익 공격 명령을 받았다.[42] 리데젤 부대의 맹렬한 사격과 프레이저 부대의 측면 공격 위협으로,[42] 아놀드는 게이츠에게 추가 병력을 요청했지만, 어둠이 닥치면서 전투는 끝났다.[43] 미군은 방어선으로 후퇴했고, 영국군이 전장을 장악했다.[44]

버고인은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상당한 사상자를 냈고,[45] 미군도 거의 3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46]

3. 2. 전투 사이의 기간

버고인의 군사회의에서는 다음 날 공격할지 여부를 논의했지만, 적어도 9월 21일까지 추가 행동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군대는 미군 전선에 더 가까이 진지를 구축하기 위해 이동했고, 일부 병사들은 전사자를 수습했다.[50] 9월 21일 공격은 버고인이 뉴욕시에 주둔한 영국군 사령관인 헨리 클린턴이 9월 12일자로 보낸 편지를 받으면서 취소되었다. 클린턴은 "약 10일 안에 [몬트고메리] 요새를 공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50] 그러나 병력과 식량이 부족했던 버고인은 여전히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었지만, 클린턴이 와서 자신의 군대를 구출해 줄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기다리기로 결정했다.[50] 버고인은 9월 23일 클린턴에게 편지를 써서 게이츠의 군대를 유인할 수 있는 일종의 지원이나 교란 작전을 요청했다.[51] 클린턴은 10월 3일 뉴욕을 출발하여 몬트고메리와 클린턴 요새를 점령했지만,[52] 그의 군대가 도달한 최북단은 클레르몽으로, 10월 16일 저명한 애국자 리빙스턴 가문의 영지를 습격했다.[53]

한편, 대륙군에서는 링컨 장군과 존 브라운 대령이 티콘데로가 요새의 영국군 진지에 대한 공격을 개시했다. 린컨은 9월 초까지 베닝턴에 2,000명의 병력을 모았다.[54] 브라운과 500명의 분견대는 티콘데로가와 레이크 조지 호수 사이의 방어가 허술한 지역을 점령한 후, 며칠 동안 요새를 비효율적으로 포격했다. 이 병사들과 그들이 도중에 해방시킨 일부 포로들은 9월 29일까지 미군 진영으로 돌아왔다.[55][56]

미군 진영에서는 게이츠와 아놀드 사이의 상호 반감이 커져, 결국에는 적대감으로 폭발했다. 게이츠는 9월 19일의 작전을 의회와 뉴욕 주지사 조지 클린턴에게 신속하게 보고했지만, 아놀드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현장 지휘관들과 병사들은 전적으로 아놀드의 공을 인정했다. 관련된 거의 모든 병력이 아놀드의 지휘하에 있었고, 아놀드가 게이츠가 텐트에 앉아 있는 동안 전투를 지휘했다. 아놀드는 항의했고, 이 분쟁은 게이츠가 아놀드의 지휘권을 박탈하고 린컨에게 넘기면서 고성으로 끝났다.[57]

이 기간 동안 양군의 감시병과 순찰대 사이에는 거의 매일 충돌이 있었다. 산림전의 전략과 전술에 익숙한 모건의 저격수들은 서쪽 측면의 영국군 순찰대를 끊임없이 괴롭혔다.[59] 9월이 10월로 접어들면서 클린턴이 버고인을 돕기 위해 오지 않을 것이 분명해졌고, 버고인은 10월 3일 군대에 식량 배급을 줄였다.[60] 다음 날, 버고인은 군사회의를 소집하여 여러 가지 방안을 논의했지만 결론적인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다음 날 회의가 재개되었을 때, 리데셀은 후퇴를 제안했고, 프레이저가 이를 지지했다. 버고인은 후퇴는 불명예스러운 일이라고 주장하며 이를 거부했다. 마침내 그들은 10월 7일 군대의 3분의 1이 넘는 2,000명의 병력으로 미군 좌익을 공격하기로 합의했다.[61]

3. 3. 베미스 고지 전투 (2차)

1777년 10월 7일, 버고인은 미군 좌익에 대한 정찰 공격을 시도했다.[64][65] 리데젤 장군은 군대의 후퇴를 권고했지만, 버고인은 공격이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했다.[64] 프레이저 준장은 대륙군 좌익을 돌아 대포를 잡기에 적당한 장소를 확보하려 했고, 윌리엄스 소령 지휘하의 영국 대포 8문과 파우슈 대위 지휘하의 헤세-하나우 대포 2문이 있었다.[65] 이들은 오전 10시에서 11시 사이에 진영을 떠나 약 1km 정도 진격하여 밀 브룩 위 언덕에 있는 바버의 밀밭에 도착하여 미군의 위치를 관찰하기 위해 멈춰 섰다.[66]

게이츠는 아놀드가 현장 지휘에서 물러난 후 미군 좌익 사령관을 맡았고, 우익 사령관은 링컨 장군에게 맡겼다.[67] 미군 정찰병이 버고인의 이동 상황을 게이츠에게 알리자, 그는 모건의 저격병들을 좌익 최전방으로, 푸어의 부대를 좌익에, 런드의 부대와 텐 브루크의 뉴욕 민병대를 배치했다.[67]

오후 2시에서 2시 30분 사이에 영국 그레나디어들이 첫 발포를 시작했고, 애클랜드 소령이 영국 그레나디어들을 이끌고 총검 돌격을 감행하자, 미군이 근접 사격을 시작했다.[70] 애클랜드는 양쪽 다리에 총상을 입고 쓰러졌고, 많은 그레나디어들도 쓰러졌다.[70] 미군 좌익에서도 영국군에게 상황이 좋지 않았는데, 모건의 부대는 캐나다인들과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몰아내고 프레이저의 정규군과 교전했다.[70] 프레이저 장군은 이 전투 단계에서 치명상을 입었다.[71]

전투 지휘에서 배제되었던 아놀드는 무단으로 전투에 참여하여 대륙군의 공격을 주도했다.[75][76] 영국 진영 오른쪽 방어선은 두 개의 요새로 고정되었는데, 가장 바깥쪽 요새는 하인리히 폰 브라이만 지휘하에 약 300명의 병사가 방어했고, 다른 요새는 발카레스 경이 지휘했다.[78] 아놀드는 미군 추격을 이끌었고, 격렬한 전투 끝에 요새는 함락되었고 브라이만은 사망했다.[80][81] 마지막 일제 사격 중 하나에서 아놀드의 말이 맞았고, 총탄과 넘어지는 말에 아놀드의 다리가 부러졌다.[82]

4. 전투의 결과

버고인은 두 전투에서 1,000명 이상의 병력을 잃었고, 그 결과 미군보다 약 3대 1로 수적으로 열세에 놓였다. 미군의 손실은 약 330명의 사상자였다. 버고인은 또한 가장 효과적인 지휘관 여러 명을 잃었고, 미군의 진지를 점령하려는 시도는 실패했으며, 그의 전방 방어선은 이제 돌파당했다. 두 번째 전투 후, 버고인은 남은 전방 진지에 불을 지르고 어둠 속에 퇴각했다. 그는 부대를 북쪽으로 16~24km 떨어진 현재의 뉴욕주 슈일러빌 근처로 후퇴시켰다. 10월 8일 아침까지 그는 9월 16일에 점령했던 요새화된 진지로 돌아왔다.

10월 13일, 군대가 포위되자 버고인은 항복 조건을 제안하기 위해 군사회의를 소집했다. 리데젤은 무기를 버리고 캐나다로 돌아갈 수 있도록 가석방될 것을 제안했다. 버고인은 게이츠가 그러한 조건을 고려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대신 보스턴으로 이송되어 유럽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해줄 것을 요청했다. 며칠간의 협상 끝에 양측은 항복 조약에 서명했다.[84]

10월 17일, 버고인은 게이츠에게 그의 군대를 항복시켰다. 영국군과 독일군은 항복하러 행진하는 동안 전통적인 항복의 영예를 받았다. 이들은 유럽으로의 안전한 통행을 보장한 협정의 이름을 따서 협정군이라고 불리는 부대를 형성했다. 그러나 대륙 의회는 이 협정을 취소했고, 협정군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포로로 억류되었다.[85]

부상당한 아놀드의 다리를 묘사한 부츠 기념비


버고인 장군의 작전 실패는 전쟁의 주요 전환점이 되었다.[86] 버고인 장군은 영국으로 돌아갔고, 영국군에서 다시는 지휘관직을 맡지 못했다.[87] 영국군은 미국인들이 용감하고 효과적으로 싸울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한 영국 장교는 이렇게 말했다.

사라토가 전투에서의 공헌을 인정받아 아놀드 장군은 그의 선임자 지위를 회복했다 (그는 1777년 초 승진을 거부당한 후 그 지위를 잃었다).[89] 그러나 아놀드 장군은 다리 부상으로 5개월 동안 병상에 누워 있었다.[90] 나중에, 아직 현장 근무에는 부적합했지만 필라델피아의 군사 총독으로 복무하던 중, 아놀드는 영국과 반역적인 서신 왕래를 시작했다. 그는 웨스트포인트 요새의 지휘권을 받고 영국에 넘길 음모를 꾸몄지만, 그의 접선자인 존 안드레의 체포로 음모가 발각되자 영국군 진영으로 도망쳤다. 아놀드는 1781년 버지니아 원정에서 버고인의 우익 사령관인 윌리엄 필립스 휘하에서 복무했다.[91]

게이츠 장군은 전투 지휘를 부하들에게 맡겼지만, 그 당시까지 가장 큰 미국의 승리의 지휘관으로 많은 공을 세웠다. 그는 다른 사람들과 공모하여 조지 워싱턴을 총사령관직에서 축출하려 했을지도 모른다.[92] 대신, 그는 남부 주요 미군의 지휘권을 받았다. 그는 1780년 캠던 전투에서 패배하여 혼란스러운 후퇴의 선봉에 섰다.[93][94] 게이츠는 그 이후로는 결코 현장에서 군대를 지휘하지 않았다.

버고인의 항복에 대한 대응으로 의회는 1777년 12월 18일을 "엄숙한 추수감사절과 찬양을 위한" 국가적 기념일로 선포했는데, 이는 그 이름을 가진 휴일을 국가적으로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기념한 것이었다.[95][96]

버고인 장군의 항복


버고인 군은 이미 3대 1의 불리한 전력 비율에 시달리고 있었고, 프리먼 농장 전투에서만 1,000명에 달하는 손실을 입었다. 반면 대륙군의 사상자는 약 500명이었다. 버고인은 유능한 부하 장교들도 몇 명 잃었다. 작전은 실패했고 더 이상 전진할 수 없게 되었다. 그날 밤, 최전선에 불을 밝히고 어둠 속으로 후퇴했다. 다음 날인 10월 8일 아침, 버고인은 9월 16일에 확보했던 진지까지 돌아왔다.

버고인 군의 전력은 약해졌고, 보급품도 부족해졌다. 대륙군은 계속해서 병력을 증강하고 있었다. 버고인은 추가로 12km 후퇴하여 사라토가에 도착했다. 사라토가 전투의 최종 국면에 접어들었다.

영국군이 타이콘데로가 요새로 돌아가려는 시도는 게이츠 장군이 지휘하는 대륙군에 의해 저지당했다. 영국군은 8월에 강을 건넜던 지점에서 사라토가에서 허드슨 강을 건너려고 시도했지만, 이미 포위되어 있었고 병력 수에서도 열세였다. 타이콘데로가 요새까지는 아직 60km나 남아 있었고, 보급품은 바닥나고 있었으며 겨울이 다가오고 있었기에 버고인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버고인은 사라토가에 진영을 구축하고 대륙군과 협상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처음에 게이츠는 무조건 항복을 요구했지만, 영국군 장군은 즉시 거절하고 싸워 죽을 것을 선언했다. 게이츠는 타협안에 동의했다. 그 안은 영국군이 항복하지도 않고 포로가 되지도 않으며, 대륙에서 다시는 군복무를 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보스턴까지 행군하여 영국으로 돌아간다는 것이었다. 게이츠는 버고인과 더 이상의 격전을 벌이는 것이 큰 희생을 초래할 것이라는 점을 우려했고, 또한 사라토가에서 곤경에 처한 부대를 구출하기 위해 영국군 헨리 클린턴 장군의 증원 부대가 뉴욕에서 출발했다는 소식이 걱정스러웠다. 화려한 예복을 차려입은 버고인 장군은 10월 17일에 진영을 떠났고, 게이츠의 아름다운 작별 인사를 받았다. 다른 병사들은 부상당했거나, 포로들을 돌보는 장교 부인들의 도움을 받고 있었다.

사라토가에서는 5,791명이 항복했다. 리드셀의 증언에 따르면, 전투력을 유지한 병사는 4,000명도 채 되지 않았다고 한다. 독일인 용병의 경우, 2,431명이 항복했고, 베닝턴 전투에서의 손실을 포함하여 10월 6일까지 1,122명이 사망, 부상, 포로 또는 행방불명되었다. 사라토가 작전에서 독일인을 포함한 영국군 전체의 손실은 포로와 탈영병을 포함하여 9,000명에 달했다.

버고인의 부대는 무장 해제되었고 18세기의 군사 관습에 따라 영국으로 돌아간 후에는 대륙에서 다시는 전투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그러나 대륙 의회는 그 "협정서"의 비준을 거부했다. 협정서는 게이츠와 버고인 사이에 항복 조건을 명시한 것이었다. 영국과 독일의 장교들은 결국 포로가 된 대륙군 장교들과 교환되었지만, 협정에 포함된 많은 병사들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뉴잉글랜드, 버지니아, 펜실베이니아의 포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다른 큰 문제도 발생했다. 브라운슈바이크 공 카를 1세는 포로가 된 병사들이 돌아와 향후 징병을 방해할 것을 우려하여 병사들의 귀환을 거부했다. 브라운슈바이크 병사들은 이것을 좋게 생각하지 않았고 많은 수가 탈영했다. 브라운슈바이크 병사 5,723명 중 1783년에 돌아온 것은 3,015명에 불과했고, 많은 수가 미국에서 개척민이 되었다.

버고인은 영국으로 돌아와 영웅으로 대접받았다. 그는 런던 상류 사회의 중심 인물이었다. 영국군이 전투에서 패배하고 포로가 되었다는 소식은 미국의 신뢰도를 높였다. 특히 프랑스는 미국 독립 전쟁에 대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4. 1. 버고인의 항복

10월 13일, 포위된 영국군은 항복 조건을 제안하기 위해 군사회의를 소집했다.[84] 버고인은 게이츠가 가석방 조건을 고려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여, 대신 보스턴으로 이송되어 유럽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요청했다.[84] 며칠간의 협상 끝에 양측은 항복 조약에 서명했다.[84] 10월 17일, 버고인은 게이츠에게 공식적으로 항복했다.[85] 항복 조건에 따라 영국군과 독일군은 '협정군'으로 불리며 유럽으로 송환될 예정이었다.[85] 그러나 대륙 의회는 이 협정을 취소하고 협정군을 전쟁이 끝날 때까지 포로로 억류했다.[85]

항복 당시 영국군은 5,791명이었으며, 리드셀의 증언에 따르면 전투력을 유지한 병사는 4,000명도 채 되지 않았다.[85] 독일인 용병의 경우, 2,431명이 항복했고, 베닝턴 전투에서의 손실을 포함하여 10월 6일까지 1,122명이 사망, 부상, 포로 또는 행방불명되었다. 사라토가 작전에서 독일인을 포함한 영국군 전체의 손실은 포로와 탈영병을 포함하여 9,000명에 달했다.

버고인의 부대는 무장 해제되었고 18세기의 군사 관습에 따라 영국으로 돌아간 후에는 대륙에서 다시는 전투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그러나 대륙 의회는 게이츠와 버고인 사이에 항복 조건을 명시한 "협정서"의 비준을 거부했다. 영국과 독일의 장교들은 결국 포로가 된 대륙군 장교들과 교환되었지만, 협정에 포함된 많은 병사들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뉴잉글랜드, 버지니아, 펜실베이니아의 포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브라운슈바이크 공 카를 1세는 포로가 된 병사들이 돌아와 향후 징병을 방해할 것을 우려하여 병사들의 귀환을 거부했다. 브라운슈바이크 병사들은 이것을 좋게 생각하지 않았고 많은 수가 탈영했다. 브라운슈바이크 병사 5,723명 중 1783년에 돌아온 것은 3,015명에 불과했고, 많은 수가 미국에서 개척민이 되었다.

버고인은 영국으로 돌아와 영웅으로 대접받았다. 그는 런던 상류 사회의 중심 인물이었다. 영국군이 전투에서 패배하고 포로가 되었다는 소식은 미국의 신뢰도를 높였다. 특히 프랑스는 미국 독립 전쟁에 대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4. 2. 영향

새러토가 전투에서 버고인 장군의 작전 실패는 전쟁의 주요 전환점이 되었다.[86] 이 승리로 영국군은 미국인들이 용감하고 효과적으로 싸울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한 영국 장교는 "미국인들이 싸운 용기와 완고함은 모든 사람을 놀라게 했다"고 말했다.[88]

조지 워싱턴을 총사령관직에서 축출하려던 음모가 있었으나,[92] 새러토가 전투의 승리로 미국의 독립 의지는 강화되었고, 국제적인 지원을 얻는 데 크게 기여했다. 특히, 버고인의 항복 소식이 프랑스에 전해지자 루이 16세 국왕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프랑스-미국 동맹을 체결하고 전쟁에 참전하여, 전쟁의 규모를 세계적인 규모로 확대시켰다.[97][98] 프랑스는 독립 전쟁 전반에 걸쳐 식민지 주민들을 지원함으로써 영국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복수할 기회를 얻었다.[100]

대륙 의회는 버고인의 항복에 대한 대응으로 1777년 12월 18일을 "엄숙한 추수감사절과 찬양을 위한" 국가적 기념일로 선포했는데, 이는 그 이름을 가진 휴일을 국가적으로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기념한 것이었다.[95][96]

5. 유산

사라토가 국립역사공원 방문자 센터에서 본 전투터 풍경


새러토가 전투가 벌어진 전장과 존 버고인의 항복 장소는 보존되어 현재 미국 국립공원관리청이 새러토가 국립역사공원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1966년 미국 국립 사적지 목록에 등재되었다.[101] 이 공원은 이 지역의 여러 건물을 보존하고 있으며 다양한 기념비가 있다. 사라토가 기념비 오벨리스크에는 네 개의 벽감이 있는데, 그중 세 개에는 호레이쇼 게이츠, 스카일러, 대령 대니얼 모건 등 미군 지휘관의 조각상이 있다. 베네딕트 아놀드의 조각상이 들어갈 네 번째 벽감은 비어 있다.[102]

사라토가 기념비 오벨리스크


아놀드의 영웅적인 행위를 기리는 더욱 극적인 기념물로 그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는 부츠 기념비가 있다. 남북 전쟁 장군 존 왓츠 드 페이스터가 기증한 이 기념물은 박차를 단 장화와 준장의 별을 보여준다. 이 기념물은 10월 7일 아놀드가 브레이만의 요새를 공격하다가 총에 맞은 지점에 있으며 "대륙군에서 가장 뛰어난 군인"에게 헌정되어 있다.[103]

1972년부터 1977년까지 국립공원관리청의 요청으로 고고학자 딘 R. 스노우는 전장 부지 및 그 주변에서 현장 조사 및 발굴을 실시하여 다양한 유물과 두 개의 인골을 발견했다.[104] 2023년 중반 현재 미국 전장 신탁 및 파트너들은 국립공원 옆 전장 26에이커를 확보하여 보존했다.[105]

6개의 주방위군 부대(101공병대대,[106] 102보병대,[107] 125급양대,[108] 181보병대,[109] 182보병대,[110], 192헌병대대[111])는 사라토가 전투에 참가한 미군 부대에서 유래했다. 현재 식민지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계보를 가진 미국 육군 부대는 30개 부대밖에 남아있지 않다.

USS ''사라토가'' (1842), USS ''사라토가'' (CV-3), USS ''사라토가'' (CV-60) 등 전투 이름을 딴 함선이 여러 척 있다.[112]

5. 1. 기념 및 보존

새러토가 전투가 벌어진 전장과 존 버고인의 항복 장소는 보존되어 현재 미국 국립공원관리청이 새러토가 국립역사공원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1966년 미국 국립 사적지 목록에 등재되었다.[101] 이 공원은 이 지역의 여러 건물을 보존하고 있으며 다양한 기념비가 있다. 사라토가 기념비 오벨리스크에는 네 개의 벽감이 있는데, 그중 세 개에는 호레이쇼 게이츠, 스카일러, 대령 대니얼 모건 등 미군 지휘관의 조각상이 있다. 베네딕트 아놀드의 조각상이 들어갈 네 번째 벽감은 비어 있다.[102]

아놀드의 영웅적인 행위를 기리는 더욱 극적인 기념물로 그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는 부츠 기념비가 있다. 남북 전쟁 장군 존 왓츠 드 페이스터가 기증한 이 기념물은 박차를 단 장화와 준장의 별을 보여준다. 이 기념물은 10월 7일 아놀드가 브레이만의 요새를 공격하다가 총에 맞은 지점에 있으며 "대륙군에서 가장 뛰어난 군인"에게 헌정되어 있다.[103]

1972년부터 1977년까지 국립공원관리청의 요청으로 고고학자 딘 R. 스노우는 전장 부지 및 그 주변에서 현장 조사 및 발굴을 실시하여 다양한 유물과 두 개의 인골을 발견했다.[104] 2023년 중반 현재 미국 전장 신탁 및 파트너들은 국립공원 옆 전장 26에이커를 확보하여 보존했다.[105]

6개의 주방위군 부대(101공병대대,[106] 102보병대,[107] 125급양대,[108] 181보병대,[109] 182보병대[110], 192헌병대대[111])는 사라토가 전투에 참가한 미군 부대에서 유래했다. 현재 식민지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계보를 가진 미국 육군 부대는 30개 부대밖에 남아있지 않다.

USS ''사라토가'' (1842), USS ''사라토가'' (CV-3), USS ''사라토가'' (CV-60) 등 전투 이름을 딴 함선이 여러 척 있다.[112]

5. 2. 문화적 영향

5. 2. 1. 소설

역사학자이자 호프스트라 대학교의 로버트 소벨/Robert Sobel영어은 1973년에 『못 하나 부족해서(For Want of a Nail)』를 출판했다. 이것은 버고인새러토가 전투에서 승리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하는 또 다른 가정 역사 소설이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The Birth of the Republic: 1763–1789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 웹사이트 Springfield Armory http://www.nps.gov/s[...] 2009-07-26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The Life of General Daniel Morgan of the Virginia Line of the Army of the United States Zebrowski Historical Services Publishing Company
[23] 서적 The Life of General Daniel Morgan of the Virginia Line of the Army of the United States Zebrowski Historical Services Publishing Company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A British Soldier's Story: Roger Lamb's narrative of the American Revolution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Benedict Arnold, Revolutionary Hero: An American Warrior Reconsidered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에피소드 Misfortunes of War 2009-07-03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General Rufus Putnam: George Washington's Chief Military Engineer and the "Father of Ohio," McFarland & Company, Inc.
[75] 서적
[76] 서적
[77] 뉴스 Letters change view of Benedict Arnold, Gen. Gates http://www.dailygaze[...] 2016-03-26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Letters and Journals Relating to the War of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archive.org/[...] Joel Munsell 1867
[85] 서적 Saratoga 1777: Turning Point of a Revolution Osprey 2000
[86] 서적
[87] 웹사이트 The Battle of Saratoga – A Major Turning Point of The Revolutionary War http://www.saratoga.[...] Saratoga.com 2013-06-29
[88] 서적 How America Fought Its Wars: Military Strategy from the American Revolution to the Civil War https://books.google[...] Da Capo Press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웹사이트 States give thanks http://www.history.c[...] 2017-10-20
[96] 서적 General Orders, 17 December 1777 https://founders.arc[...] Univ Press of Virginia
[97] 서적 General Rufus Putnam: George Washington's Chief Military Engineer and the "Father of Ohio," McFarland & Company, Inc.
[98] 서적
[99] 서적
[100] 웹사이트 France in the Revolution http://www.americanr[...] 2013-06-29
[101] 웹사이트 Saratoga National Historical Park
[102] 웹사이트 Saratoga activities http://www.nps.gov/a[...]
[103] 웹사이트 Saratoga National Historical Park Tour Stop 7
[104] 웹사이트 Oxford Academic Group
[105] 웹사이트 Saratoga Battlefield https://www.battlefi[...] 2023-06-19
[106] 간행물 Lineage and Honors, 101st Engineer Battalion Department of the Army
[107] 간행물 Lineage and Honors, 102nd Infantry Department of the Army
[108] 웹사이트 125th Quartermaster Company honored for storied lineage, service at Lexington and Concord https://web.archive.[...] 2012-02-29
[109] 간행물 Lineage and Honors, 181st Infantry Department of the Army
[110] 간행물 Lineage and Honors, 182nd Infantry Department of the Army
[111] 간행물 Lineage and Honors, 192nd Military Police Battalion Department of the Army
[112] 웹사이트 The US Navy Aircraft Carriers http://www.navy.mil/[...] 2016-06-06
[113] 서적 Bennett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